?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我國十八賢-1. 홍유후 설총(弘儒侯 薛聰, 650년경 - 740년경)

 

    동벽배향(東벽配享) 제1위(第一位)

 

 
문묘배향인물.jpg

 


본관은 경주(慶州), 신라 경덕왕(742 - 765) 때의 사람으로 자는 총지(聰智)이다. 설총의 부친은 원효대사이며, 모친은 요석공주이다.
『삼국유사』 [원효불기(元曉不羈)]와 『삼국사기』의 열전에 의하면, 설총은 천성이 명민하고 슬기로웠으며, 나면서부터 도를 깨달아 경서와 역사에 널리 통달했다고 한다. 또한 중국과 외이(外夷)의 각 지방 풍속과 물건 이름 등에도 통달하였고 육경(六經)과 문학을 훈해(訓解)하여 후생을 훈도 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기록에 의해서 고려말, 조선 초에 설총의 이두창제설(吏讀創製說)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러나 설총의 출생 이전에 이미 [진흥왕순수비]나 [서동요] [혜성가] [풍요(風謠)]등에 향찰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설총은 이두를 창제한 것이 아니라 집대성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설총은 많은 글을 지었으나 세상에 전하는 것이 없고, 다만 남쪽에 설총이 지은 비명이 있지만 글자가 결락되어 읽을 수 없다고 한다. 또한 이 『삼국사기』 열전에는 신문왕을 풍간(諷諫)한 [화왕계]가 실려 있다. 이 작품은 꽃을 의인화하여 군자를 가까이 하고 소인을 멀리하라는 우언(寓言)으로, 유교주의적 정치윤리를 그 내용으로 담고 있다. 그리고 이 [화왕계]는 내용뿐 아니라 문체 또한 변려문(騈儷文)을 본받은 수준 높은 글로 되어 있어 당시 한문학의 수준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설총은 이두로 유교 경전을 해석하여 후학을 훈도 하였으며, 동시에 우리나라 유학 발전에도 큰 기여를 하였다. 이러한 공로로 고려 현존 13년(1022)에 홍유후(弘儒侯)로 추증 되어 문묘에 종사되었으며, 경주의 서악서원(西岳書院)에 제향되었다.

  1. 啓聖祠에 모셔진 五聖의 考位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96
    Read More
  2. 大成至聖 文宣王 孔子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918
    Read More
  3. 孔門十哲 -10 영천후 전손사(潁川侯 颛孫師)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69
    Read More
  4. 孔門十哲 -6 서공 염구(徐公 冉求, BC 522 - 489)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88
    Read More
  5. 孔門十哲 -7 위공 중유( 衛公 仲由, BC 542 - BC 480)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23
    Read More
  6. 孔門十哲 -8 오공 언언(吳公 言偃, BC 506 - ?)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27
    Read More
  7. 孔門十哲 -9 위공 복상(魏公 卜商, BC 507? - ?)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25
    Read More
  8. 孔門十哲-1 비공민손(費公閔損, BC 536 - BC 487)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406
    Read More
  9. 孔門十哲-2 운공 염 경( 鄆公 冉耕, BC 544 -?)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400
    Read More
  10. 孔門十哲-3 설공 염옹(薛公 冉雍, BC 522 - ?)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446
    Read More
  11. 孔門十哲-4 제공 재여(齊公 宰予, BC 522 - BC 458)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412
    Read More
  12. 孔門十哲-5 여공 단목사(黎公 端木賜, BC 520 - ?)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405
    Read More
  13. 我國十八賢-1. 홍유후 설총(弘儒侯 薛聰, 650년경 - 740년경)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58
    Read More
  14. 我國十八賢-10. 문정공 김인후(文正公 金麟厚, 1510 - 1560)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88
    Read More
  15. 我國十八賢-11. 문성공 이이(文成公 李珥, 1536 - 1584)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37
    Read More
  16. 我國十八賢-12. 문간공 성혼(文簡公 成渾, 1535 - 1598)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62
    Read More
  17. 我國十八賢-13 문원공 김장생(文元公 金長生, 1548 - 1631)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55
    Read More
  18. 我國十八賢-14. 문렬공 조헌(文烈公 趙憲, 1544 - 1592)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04
    Read More
  19. 我國十八賢-15. 문경공 김집(文敬公 金集, 1574 - 1656)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259
    Read More
  20. 我國十八賢-16. 문정공 송시열(文正公 宋時烈, 1607 - 1689)

    Date2019.03.19 Byjjhyanggyo Views322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