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55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게시글 수정 내역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我國十八賢-9 문순공 이황(文純公 李滉, 1501 - 1570)

 

동배향(東配享) 제5위(第五位)

 
 

문묘배향인물.jpg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 도옹(陶翁)이며, 본관은 진보(眞寶)이다.

 

12세에 숙부에게 『논어』를 배웠고, 14세경 부터는 혼자 독서하기를 좋아하였으며, 도연명(陶淵明)의 시를 좋아하여 흠모하였다. 20세 경에는 침식을 잊고 『주역』에 몰두하다 건강을 해쳤으며, 이후로 병을 항상 달고 다녔다고 한다. 중종 22년(1527)에 진사시에 합격하고 성균관에 입학하였으며, 그 다음해에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33세경에 다시 성균관에 들어갔는데, 이 무렵 『심경부주(心經附註)』를 얻고 그 내용에 크게 심취하였다 한다. 동왕 29년(1534) 34세 때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을 시작하였다. 39세에는 홍문관수찬(弘文館修撰)이 되었다가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그러나 중종 말년에 정국이 혼미해지자 낙향의 뜻을 세우던 중, 43세 때에 성균관사성(成均館司成)에 제수되자 성묘를 핑계로 낙향하였다. 이후 관직을 사퇴하거나 임관하지 않은 것이 20여회에 이르렀다. 46세 때는 낙동강 상류 토계(兎溪)에 양진암(養眞庵)을 짓고 학문에 전념하였으며, 이 무렵에 호를 '퇴계(退溪)'라 하였다. 그러던 중 자주 임관의 명을 받자, 중앙관직을 피하여 외직을 지망하였다. 48세 때에 풍기군수가 되었는데, 전임군수인 주세붕(周世鵬)이 창설한 백운동서원(白雲洞書院)에 편액(扁額), 서적(書籍), 학전(學田)의 하사를 청하여 이루어졌으니 바로 조선조 사액서원의 효시가 된 소수서원(紹修書院)이다. 이 사액서원은 그 후 향약과 함께 사림들이 거듭 흥기 할 수 있었던 주요한 기반이 된다. 명종 7년(1552)에 학교가 폐이(廢弛)함을 근심하여 문행(文行)이 있는 자를 사유(師儒)의 장(長)으로 삼고자 했다. 이에 이황을 발탁하여 성균관 대사성(成均館大司成)으로 삼아 학문을 진작시키도록 했다.

 


60세(1560)에는 도산서당(陶山書堂)을 짓고 7년간 기거하면서 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68세에는 선조의 명으로 대제학 지경연에 출사하여, 성군이 되기 위해 지켜야 할 조목인 [무진육조소(戊辰六條疎)]를 올린다. 그리고 평생의 심혈을 기울여, 성리학을 10장의 그림으로 풀이한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지어 올린다. 7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선조는 3일간 정사를 폐하고 애도하였다 한다.

 


조선조의 학자들이 성리학을 체계적이고도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었던 것은 주자학을 집대성한 이황에 이르러서야 가능했다. 이황은 특별한 스승이 없이 거의 독학으로 대성하였다. 이황은 중종 38년인 43세 때에 『주자대전(朱子大全)』을 입수하여 풍기군수를 사퇴한 49세 이후에 심독하여 자신의 학문을 완숙시켰으며, 또 수많은 제자를 길러냈다. 53세(1553)에는 정지운(鄭之雲)의 『천명도설(天命圖說)』을 개정하였고, 이로 인해 기대승(奇大升)과 7년 여에 걸쳐 사단칠정논쟁(四端七情論爭)이 일어나게 된다. 또한 54세에는 노수신(盧守愼)의 [숙흥야매잠해(夙興夜寐箴解)]에 대해 논쟁하였다. 57세에는 『역학계몽전의(易學啓蒙傳疑)』를 완성하고, 58세에는 『주자서절요(朱子書節要)』와 『자성록(自省錄)』을 완성하였다. 63세(1563)에는 『송원이학통록(宋元理學通錄)』을 지었고, 66세에는 『심경후론(心經後論)』을 지었으며, 68세에는 『성학십도(聖學十圖)』를 완성한다.

 


이러한 이황의 학문은 후일 영남학파를 형성함은 물론 중국과 일본에도 전파되어 막대한 영향을 끼쳤다. 실로 이황은 동양 삼국의 학자들에 의해, 주자를 이은 최대의 학자로 칭송되며 성인으로까지 일컬어지고 있다. 1970년 서울에 퇴계학 연구원이 창립된 이후, 일본 동경에 이퇴계연구소, 대만 국립사범대학 내에 퇴계학 연구회가 부설되었으며, 근래에는 미국의 워싱톤, 뉴욕, 하와이, 독일의 함부르크, 본에 퇴계학 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76년 이래 해마다 세계 도처에서 국제학술회의가 개최되고 있다.

 


선조 3년(1570) 영의정에 추증하고 동왕 9년(1576)에 문순(文純)이라 증시(贈諡)하였으며, 광해군 2년(1610)에 문묘에 종사되었다. 이후 도산서원(陶山書院)을 비롯하여 이황을 종사한 서원은 전국에 40여 곳에 이른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 我國十八賢-5. 문경공 김굉필(文敬公 金宏弼, 1454 - 1504) file jjhyanggyo 2019.03.19 398
19 我國十八賢-4. 문충공 정몽주(文忠公 鄭夢周, 1337 - 1392) file jjhyanggyo 2019.03.19 479
18 我國十八賢-3. 문성공 안유(文成公 安裕, 1243 - 1306) file jjhyanggyo 2019.03.19 509
17 我國十八賢-2. 문창후 최치원(文昌侯 崔致遠, 857 - ?) file jjhyanggyo 2019.03.19 696
16 我國十八賢-1. 홍유후 설총(弘儒侯 薛聰, 650년경 - 740년경) file jjhyanggyo 2019.03.19 442
15 孔門十哲 -10 영천후 전손사(潁川侯 颛孫師) file jjhyanggyo 2019.03.19 466
14 孔門十哲 -9 위공 복상(魏公 卜商, BC 507? - ?) file jjhyanggyo 2019.03.19 407
13 孔門十哲 -8 오공 언언(吳公 言偃, BC 506 - ?) file jjhyanggyo 2019.03.19 422
12 孔門十哲 -7 위공 중유( 衛公 仲由, BC 542 - BC 480) file jjhyanggyo 2019.03.19 440
11 孔門十哲 -6 서공 염구(徐公 冉求, BC 522 - 489) file jjhyanggyo 2019.03.19 478
10 孔門十哲-5 여공 단목사(黎公 端木賜, BC 520 - ?) file jjhyanggyo 2019.03.19 473
9 孔門十哲-4 제공 재여(齊公 宰予, BC 522 - BC 458) file jjhyanggyo 2019.03.19 480
8 孔門十哲-3 설공 염옹(薛公 冉雍, BC 522 - ?) file jjhyanggyo 2019.03.19 579
7 孔門十哲-2 운공 염 경( 鄆公 冉耕, BC 544 -?) file jjhyanggyo 2019.03.19 531
6 孔門十哲-1 비공민손(費公閔損, BC 536 - BC 487) file jjhyanggyo 2019.03.19 509
5 추국 아성공 맹자(鄒國 亞聖公 孟子, BC 372 - 289) file jjhyanggyo 2019.03.19 701
4 기국 술성공 자사(沂國 述聖公 子思, B. C 483?-B.C 402) file jjhyanggyo 2019.03.19 630
3 연국 복성공 안자(兗國 復聖公 顔子, B.C 521 - B.C 481) file jjhyanggyo 2019.03.19 810
2 성국 종성공 증자( 郕國宗聖公曾子, BC 505 - 432) file jjhyanggyo 2019.03.19 585
1 大成至聖 文宣王 孔子 file jjhyanggyo 2019.03.19 1324
Board Pagination Prev 1 2 Next
/ 2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