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 수 1796 댓글 0

아버님 기제 축문 서식(모친 무)

      

 

 

 

         
       
歲次 己丑  月己巳 朔 十二 日 庚辰
   
    孝子 ○○ 敢昭告于
   

  
學生府君  

 顯孺人 00 0

 

    歲序遷易 顯考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
  


 

 

 <한글 축문>

모년 모월 모일 효자 아무개는 감히 고하나이다.

아버님 어머님, 해가 바뀌어서 아버님의 돌아가신 날이 다시오니

영원토록 사모하는 마음과 하늘같이 크고 넓은 은혜를 잊지 못하여

삼가 맑은 술과 여러가지 음식으로 공손히 전을 드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3, 축문 쓸때 알아두어야 할 점

 

◑ 維(유) ; 이어서 내려오다.

◑ 歲次(세차) ; 해의 차례.

◑ 干支(간지) ; 간지는 천간지지 육십갑자의 그해의 태세를 쓴 것이며 그 예로 금년이 丁丑 (정축)년이면 丁丑 (정축)이라고 씁니다.

◑ 某月(모월) ; 제사날을 따라 쓰며 제사달이 정월이면 正月 8월이면 八月(팔월)이라 씁니다.

◑ 干支朔(간지삭) ; 제사달의 초하루라는 뜻으로 제사달 초하루의 일 진을 씁니다. 예를 들면 초하루 일진이 丁亥 (정해)이면 丁亥朔 (정해삭)이라 씁니다.

◑ 某日(모일) ; 제사날을 쓴것이며 제사날이 15일이면 그대로 十五日 (십오일)로 씁니다.

◑ 干支(간지) ; 그 제사날의 일진을 씁니다. 예를 들면 15일이 제삿날 이고, 15일의 일진이 甲子(갑자)이면 甲子(갑자)라고 씁니다.

◑ 敢昭告于(감소고우) ; 삼가 밝게 고한다. 妻喪 (처상)에는 敢(감)자 를 버리고 昭告于(소고우)만 쓰며, 아우 이하는 다만 告于(고우)만 씁니다.

◑ 예제 축문은 양친이 별세한 경우 부친 제사의 축문이며, 모친제사 의 경우에는, 청색 글의 顯考(현고)를 顯妣(현비)로 고쳐 씁니다.

◑ 부부중 한쪽이 살아 계신 때에는 顯考學生府君 (현고학생부군) 혹 은 顯비孺人ooo氏 (현비유인ooo씨)중 한쪽을 쓰지 않습니다.

조부모 제사의 경우는 顯考(현고)를 顯祖考(현조고), 顯妣(현비)를 顯祖妣(현조비)로 고쳐씁니다.

증조부모 제사의 경우는 顯考(현고)를 顯曾祖考(현증조고), 顯妣 (현비)를 顯曾祖妣(현증조비)로 고쳐 씁니다.

고조부모 제사의 경우 顯考(현고)를 顯高祖考(현고조고), 顯妣(현 비)를 顯高祖妣(현고조비)로 고쳐 씁니다.

◑ 孝子이름은 겸양의 표현으로 조금 작게 씁니다. 이때 孝子는 장손을 뜻 하며 또한 제사를 지낼 의무가 있음을 의미합니다.

축문 중 청색글씨는 그때 그때 바뀌어야 합니다. 

 

<용어의 해석>

◑ 學生府君(학생부군); 남자는관직을 갖지 않았으면 學生(학생), 관직 이 있으면 직급과 관직을 쓴다. 예를 들어 서기관급으로 청원군수 를 지냈으면 顯考書記官淸原郡守(현고서기관청원군수) 라고 쓴다. 여자는 封爵(봉작)이 없으면 儒人(유인), 봉작이 있으면 ㅇ封ㅇ氏라 고 쓴다. 예) 밀양 박씨로 봉작이 없었다면 顯儒人密陽朴氏(현비유 인밀양박씨)라고 쓰고, 정경부인에 봉해졌다면 顯貞敬夫人密陽朴氏 (현비정경부인밀양박씨)라고 쓴다.

 

◑ 歲序遷易(세서천역); 세월이 흘러 때가 바뀌었다.

◑ 諱日復臨(휘일부림); 돌아가신 날이 다시 돌아 오다. 아내나 아랫사 람의 제사에는 亡日復至(망일부지)라고 쓴다.

◑ 追遠感時(추원감시); 돌아가신 때를 맞이하여 진정한 마음으로 감동 하다.(세월이 갈수록 더욱 더 생각이 난다) 웃어른이나 남편, 아내 에게만 쓴다.

◑ 昊天罔極(호천망극); 하늘이 넓고 끝이 없다. (부모의 은혜가 크고 끝이 없음을 일컬는 말) 부모님께만 쓴다.

◑ 不勝永慕(불승영모); 깊이 흠모하는 마음의 뜻으로 조부모님 이상에 쓴다.

◑ 不勝悲念(불승비념); 슬픈 마음을 이기지 못한다. 아내에게 쓴다.

◑ 不勝感愴(불승감창); 슬픈 마음을 어찌하리. 남편과 백숙부모에 쓴 다.

◑ 不勝悲通(불승비통); 비통한 마음을 이기지 못한다. 형님에게 쓴다.

◑ 情何可處(정하가처); 정을 어찌 할 바 모르겠다. 아우에 쓴다.

◑ 心毁悲念(심훼비념); 마음이 불타고 슬픔이 하염없다, 아들에 쓴다.

◑ 謹以(근이); 삼가라는 뜻으로 부모님이상, 남편 형의 축문에만 쓴 다.

아내와 다른 아랫사람은 慈以(자이)라 쓴다.

◑ 淸酌庶羞(청작서수); 맑은 술과 여러 가지 음식.

◑ 恭伸奠獻(공신전헌); 공손이 祭物(제물)을 올리다. 제사를 지내다. 부모님을 비롯한 남편, 형 등의 웃사람에 쓰고, 아내를 비롯한 그 외는 伸此奠儀(신차전의)라고 쓴다.

◑ 尙饗(상향); 흠향 하시옵소서.

◑ 歆饗(흠향)은 신위가 납시어 차려 놓은 제물을 받음.


로그인

로그인폼

로그인 유지